망막박리란?
안녕하세요. 망막전문의 김주연 입니다. 오늘은 <망막박리>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.
망막박리는 망막의사들이 외래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질환입니다. 망막박리는 실명에 이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, 망막박리를 적절한 시기 안에 수술을 받으면 비교적 좋은 시력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망막박리 환자들의 주 증상은 “가려보임” 입니다.
시야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는 다음의 질환들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
- 녹내장. 초기 녹내장인 경우에는 증상을 못 느낄 수 있습니다.
- 시신경병증. 약물이나 외상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고 감염으로 인한 경우도 있습니다.
- 뇌 병변. 안구보다 조금 더 상위기관인 뇌의 시각영역이 침범되는 경우 시야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뇌의 압박병변이나 뇌경색과 같은 허혈 질환이 있을 수 있습니다.
- 망막질환. 망막혈관이상과 망막박리가 있습니다. 혈관이 폐쇄되는 경우 혈관이 담당하는 영역의 망막이 기능손상이 되면서 시야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, 망막이 박리되는 경우 박리된 만큼 시야변화를 느끼게 됩니다.
망막박리의 정의는 망막이 떨어지는 것, 조금 더 어렵게 이야기 하면 망막의 감각신경층과 망막망막색소상피 분리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열공, 근시, 외상, 염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://blog.kimeye.co.kr/cache/thumbnail/1/3054371551.w650-h220.jpg)
망막박리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.
1. 가장 흔한 형태인 열공성 망막박리.
2. 유리체망막유착이 망막을 기계적으로 당기면서 발생하는 견인성 망막박리. 당뇨망막증이 대표적.
3. 종양 또는 염증으로 망막하액이 축적되면서 발생하는 삼출성 망막박리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://blog.kimeye.co.kr/attach/1/2292859643.jpg)
망막박리는 적절한 시기 안에 치료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원인이 되는 질환이 있는 경우 원인 질환의 치료와 함께 수술적 치료가 동반이 됩니다.
다음에는 망막박리의 가장 흔한 형태인 열공성 망막박리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Comments List
적절한 시기라는것이 어느정도의 시간인가요?
황반박리가 동반된 경우에는 황반으로 박리가 진행하기 전에 수술하는 것이 좋으며,
황반박리가 동반되었더라도, 시간이 지체되면 망막에 주름이 잡히거나 뻣뻣해져서 유착이 어렵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, 되도록 빠른 일정으로 수술을 권유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