망막의사와 백내장 #4
안녕하세요. 망막전문의 김주연 입니다. 오늘은 <백내장 수술> 세번째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. 백내장 수술이 어려워지는 경우를 다시 한 번 복습해보겠습니다.
<전방에서의 백내장 수술이 어려워지거나, 수술이 후방으로 확장되어야 하는 경우>
1. 수정체 주머니의 손상
2. 지지해주는 줄의 손상
3. 수정체 탈구 또는 인공수정체 탈구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://blog.kimeye.co.kr/attach/1/1895744118.jpg)
백내장 수술은 눈의 앞쪽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수술 입니다. 수술이 후방으로 확장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수정체 탈구 또는 인공수정체 탈구가 그 경우 입니다. 수정체 탈구 또는 인공수정체 탈구는 수정체과 인공수정체가 제자리에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. 아래 사진을 보시면 수정체와(좌측사진) 인공수정체가(우측사진) 중심에서 이탈되어 있습니다.
![]() | ![]() |
사진과 같이 수정체의 위치가 심하게 이탈이 되어있는 경우와 이전 백내장 수술 후 넣은 인공수정체의 탈구가 발생하는 경우 수술을 후방으로 확장하게 됩니다.
![]() | ![]() |
안구의 상측 공막에 약 7mm 정도의 절개창을 만든 뒤 후방에서 수정체를 제거하거나 (좌측 사진) 절개창을 통해서 이탈된 인공수정체를 제거하게 됩니다. (우측 사진) 인공수정체를 담아놓을 수 있는 주머니와 지지해주는 줄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같이 제거를 하게 됩니다.
![]() | ![]() |
인공수정체를 공막에 고정할 위치를 정한 뒤 인공수정체의 양 쪽 다리의 같은 자리에 실을 묶어줍니다.(죄측 사진, 노란 별) 상측 공막 절개창을 통해서 인공수정체를 눈 안으로 넣고 위치를 잡아줍니다. 인공수정체를 직접 묶어서 공막에 고정을 하는 수술로 “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”이라고 부릅니다.
백내장 수술 시에는 절개부위가 각막의 가장라지로 2.2~3.0mm의 미세절개를 하게 됩니다.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하는 경우에는 절개창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수술 후 안압이 너무 낮아지거나 또는 높아지지 않는지, 난시가 심하게 발생하지 않는지 관찰을 해야 합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://blog.kimeye.co.kr/cache/thumbnail/1/9248196003.w325-h223.jpg)
수술 후 중심에 잘 위치한 인공수정체를 볼 수 있습니다. 공막 절개창과 다른 수술부위를 정리하고 수술을 마무리 합니다.
수술시간도 좀 소요되고 과정도 조금 복잡하지만, 처음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봤던 전공의 2년차 때 교수님 수술 어시스트를 하면서 마음 속으로 ‘참 기발하다!!!!!’ 하고 감탄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. 참 기발하고 신통방통한 수술입니다. 오늘도 환자분들께 무언가를 해드릴 수 있어서 기쁜 저입니다. ^-^
Comments List
안녕하세요
작성하신 글 잘봤습니다
궁금한 점이 있어서 댓글 남기는데요
공막고정술 시술 후에 시야가 보이기 시작하면서 왼쪽 수정체쪽에 물방울이 있는 것같고 사물이 기울어서 보이고있다면 이 경우 바로잡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?
옆집eye 블로그 관리자 입니다.
답변이 늦어 죄송합니다. 작성해주신 내용은 실제 눈 상태를 진료없이 말씀만으로 판단하기 어려워 안과 전문의 진료를 통해 확인하셔야 합니다. 진료상담은 김안과병원 홈페이지(kimeye.com) 온라인 상담란을 통하시면 좀더 빠른 답변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.
감사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