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러 고민을 하던 중에 손상된 각막을 투명하게 보이도록 할 기구가 필요했습니다.
조성원 선생님께서 중요한 조언을 해주셨죠. Eckardt lens 라는 임시로 각막의 기능을 대신 할 수 있는 기구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셨습니다.

못에 의한 상처의 직경이 약 4mm 정도였는데 Eckardt lens는 직경이 7mm로 적당하였고 이 렌즈를 이용하여 수술에 도전해 볼 수 있었습니다.
버섯 모양으로 생긴 이 렌즈의 아랫부분은 임시로 절개한 각막에 고정시키고 버섯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각막 위쪽에 위치 시켜 바깥쪽에서 눈의 안쪽을 투명하게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.
각막이식때 처럼 혼탁된 각막을 떼어내고 Eckardt 렌즈를 고정하였습니다.
![]() | ![]() |
렌즈를 고정하고 나니 안구 속을 잘 볼 수 있었죠. 터진 수정체 조각들을 제거하고 혼탁된 유리체도 흡입하였습니다. 못이 들어가면서 눈썹이 같이 눈속으로 들어가 있어서 눈썹도 2개나 제거를 했습니다.
![]() | ![]() |
유리체를 모두 없애고 나니 생각보다 망막의 손상은 심하지 않았습니다. 일반적인 경우라면 안구내 염증이 발생한 경우 시행하는 유리체 수술에서 인공수정체 삽입은 잘 시행하지 않습니다. 이유는 염증 조절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나중에 시행해도 크게는 무방하기 떄문이죠.
하지만 이 환자의 경우 경과가 좋다면 각막이식술을 받을 기회가 생길 것이고 인공수정체를 지금 삽입해 주면 각막이식술시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인공수정체도 삽입해 주었습니다.
인공수정체 삽입후 Eckardt 렌즈는 제거하고 원래의 혼탁된 각막을 다시 각막에 고정해 주었습니다.
여전히 눈은 혼탁된 각막으로 보이지 않는 상태였지요.
![]() | ![]() |
그 후 다행히 눈속의 염증은 잘 조절되었고, 약 2달간의 고통의 시간을 보낸 후 각막이식의 기회가 생겼습니다.
외국에서 수입각막으로 각막이식을 받았고 시력은 높지는 않지만 그래도 실명의 위기는 넘길 수 있었습니다. 물론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겠지만요.
의과대학을 다닐 때 내가 만일 암에 걸린다면 이 힘든 치료를 어떻게 받아 하고 생각하며 내가 앞으로 암에 걸린다면 그냥 치료 받지 않고 죽을 거야 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습니다. 치료의 고통스런 시간들 뿐 아니라 어려운 상황 일수록 치료 후에 어떻게 될지 예견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이런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지요.
치료에 어려움이라면 암이란 큰 산이 있고, 그 중 흔히 알고 계시는 백혈병이 있습니다. 백혈병의 예를 들어보면 백혈병의 여러 종류가 있는데, 그 일부는 항암요법 만으로도 치료 확률이 80% 이상으로 올라갔고, 나머지 종류들도 과거에 비하면 치료 성적이 매우 좋다고 합니다. TV 속 주인공들이 백혈병에 걸리면 모두 안타까운 운명을 맞았던 것과는 큰 차이가 있죠.
어려운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, 그리고 희망적인 목표를 가지는 것은 의사 뿐만 아니라 환자분들에게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 생각합니다.
그리고 노력 후 그 좋은 결과는 우리 모두 것이 될 것이고요.
아무리 어려운 상황에서라도 희망을 잃지 않는 것은 치료 뿐만 아니라 세상 모든 일이 그렇겠지요?
오늘도 우리 모두 화이팅 해 볼까요.!!
Comments List
삽화 그림에 도움을 준 최수인 학생에게 감사드립니다. ^^
지난번 눈을 바늘로 찌르면.... 글에서 사진이 징그럽다 해서 그림으로 대체하신건가요??
ㅎㅎ 블로그에 많은 정성을 쓰시는 모습 참 보기 좋습니다!!
싸이판님 화이팅!!
네 그래서 그림으로 준비했는데...
방학을 맞아 의국사무실에서 수고하는 있는 최수인 학생의 도움을 받았죠. ^^ 그림에는 소질이 없어서 담에는 이런거 없어요. ㅎㅎ
그래요.. 최악의 상황에서도 곰곰히 생각해보면 뜻밖의 방법이 떠올라 좋은 결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.
의사란 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어야 하고, 그러기위해서는 항상 공부를 해야겠죠?
에구, 에구... 도대체 언제까지 공부를 해야하는 건 지... ㅎㅎㅎ
네 선생님. 모든 환자들이 좋아지는 그 날까지 열심히 노력해야 겠습니다. ^^
이런 수술 하시고 잘 회복되는 환자를 지켜보시면서 많이 뿌듯하실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~~
쉽지 않은 상황일지라도 다양한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치료와 수술을 해줄 수 있다는 것은, 대학병원에 계신 선생님들만의 특권(?)이자 사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.
EBS의 '명의'라는 프로그램을 보면서도 가끔 드는 생각인데요, 개인병원 선생님들도 물론 중요하지만, 환자를 위하여 열심히 공부&연구하고 다방면의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 선생님들이 많이 계셔야 행복한 대한민국으로 발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. ^^;;
오말럽님께서 이렇게 이해해 주시니 정말 감사드립니다.
여러운 상황에서 항상 좋은 일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늘 희망이 있기에 최선을 다할 수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.
관리자만 볼 수 있는 댓글입니다.
보여지는 모습이 부끄럽게 생각됩니다. 사실 이런 이야기는 별로 드러내기를 좋아하는 일은 아니지만, 치료라는 것이 희망을 품고 시작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 어려운 상황을 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을 뿐 이고요.
어쨰든 이해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
믿고있는 환자의 손을 끝까지 놓지않으시고 항상 긍정의 방향으로 최선을 다하시는 한선생님의 모습에 좋은영향 많이 받고있습니다.
오늘도 흥미진진하게 글잘보고 갑니다.^^
정말정말 부끄럽습니다.
다음에는 좀더 편안한 내용으로 만나겠습니다. ^^